대학 등록금은 언제나 부담이다. 특히 경기 침체가 길어질수록, 학부모와 학생 모두 학자금 지원 제도에 대한 관심은 더 커진다. 2025년 들어 국가장학금 제도에 중요한 변화가 생겼다.
지원 대상 확대, 금액 인상, 특별재난지역 학생 지원 등
올해 바뀐 내용은 단순히 금액만의 문제가 아니다. 지금부터 2025년 국가장학금 제도의 핵심 변화 사항과 신청 전에 꼭 알아야 할 정보를 보기 쉽게 정리해보자.
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
지원 대상 확대: 소득 9구간까지 가능해진다
구간 | 이전 기준 | 2025년 변경 사항 |
---|---|---|
1~8구간 | 지원 대상 | 동일 |
9구간 | 지원 불가 | 지원 가능 (신설) |
기존엔 8구간까지만 가능했지만, 이제는 9구간 학생도 국가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게 되었다. 정부는 중위소득 이상의 가정도 등록금 부담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 대상을 넓혔다.
TIP: 가구원의 소득 정보를 사전에 확인하고, ‘나이스 교육비 지원 시스템’에서 소득구간을 조회해보자.

지원 금액 인상: 최대 40만 원 더 많아진다
항목 | 기존 | 2025년 변경 |
1~3구간 등록금 지원 | 최대 전액 | 동일 |
4~8구간 지원 | 구간별 차등 지급 | 최대 40만원 증액 |
기존에는 등록금의 일부만 지원되던 구간(4~8구간)에서도 최대 40만 원까지 추가 지원이 이뤄진다. 생활비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이다.
TIP: 생활비, 기숙사비까지 연계한 총액을 기준으로 본인의 부담액을 따져보는 게 좋다.
특별재난지역 학생 등록금 전액 지원
대상 | 적용 시기 | 지원 범위 |
특별재난지역 거주 대학생 | 2025년 2학기 | 등록금 전액 (최대 2학기) |
산불, 수해, 군사 사고 등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 학생들에게는 등록금 전액을 국가가 대신 지원한다. 신청 시 거주지 증빙이 필요하며, 해당 지역으로 등록된 주소 기준이다.
신청 일정 및 방법 요약
구분 | 일정 | 방법 |
1차 신청 | 종료 | (완료됨) |
2차 신청 | 8월 중순 예정 |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접속 |
신청은 연 2회 진행되며, 2차 신청은 8월 중순 예정이다. 놓치지 않으려면 한국장학재단의 문자 알림 서비스나 이메일 알림을 신청해두는 것이 좋다.
TIP: 신청 시 준비해야 할 것들
-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 (공동인증서 필요)
- 소득구간 심사 동의
- 재학증명서 또는 등록금 납부 확인서
핵심 요약
- 소득 9구간까지 확대: 더 많은 학생이 대상에 포함됨
- 지원 금액 인상: 일부 구간은 최대 40만 원 추가
- 특별재난지역 등록금 전액 지원: 피해 학생 부담 최소화
- 신청 일정 확인 필수: 2차 신청은 8월 중순 예정
관련 링크
-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: https://www.kosaf.go.kr
- 2025년 교육부 보도자료: https://www.moe.go.kr
마무리
2025년 국가장학금 제도의 변화는 금액보다 포함되는 사람의 범위가 더 중요하다. 더 많은 학생들이 경제적 이유로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, 반드시 신청 자격과 일정을 확인하자. 형편이 안 되는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제도일수록, 몰라서 못 받는 일이 없어야 하니까.